밸런스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계신가요?

작성자: AABCDEEF
31 0 2025-06-29
우선 각 던전에는 여러 기믹이 있습니다.
일만몹 소환 ( 잡몹소환) 여기서 더 심화된 기믹은 특정 몹을 잡으면 바로 모두가 죽는 패턴, 카이저의 기지 ( 키메라몬 던전) 에서 보여준 " 소울몬 " 을 잡게 되면 파티원 모두가 죽는 기믹

장판 소환에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 유도 장판 " 을 소환하여 파티원과 장판이 겹쳐지지 않게 흩어져서 맞는 장판, 겹쳐서 딜을 경감하는 장판, 다크 웹 던전에서 나온 디버프 장판.
" 고정 장판 " 을 소환하여 그 범위를 벗어나면 되는 장판.

특정 기믹을 진행하며 스킬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 침묵 " 디버프를 주는 기믹

각 던전마다 고유의 특색을 나타내는 디버프 등이 있습니다. (로얄 베이스, 아레나 던전)

밸런스에 대해 얘기를 하는데 왜 던전 기믹부터 얘기를 하시는지 의아하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이유는 한차례 밸런스 패치 이후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2025년 4월 25일 개발노트 글의 일부입니다.
쿠즈하몬 : 무녀모드
현재 디지몬 마스터즈의 모든 던전은 쿠즈하몬 : 무녀모드를 채용했을 때 클리어에 대한 안정감을 주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신규 던전을 출시하게 되었을 때 재미보다 무녀모드를 인식한 던전이 기획되기도 했습니다.
한 개체의 디지몬에 의지하는 구조를 조정하기 위해서 스킬 지속 시간과 쿨타임을 조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단, 쿠즈하몬 무녀모드가 광역기의 부재와 스킬 대미지가 없는 스킬이 존재 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스킬 중 한 개는 대미지 상향 조정을 함과 동시에 또 다른 스킬은 광역공격 형태로 변경하여 사냥에서도 기대할만한 효율을 보일 수 있도록 조정될 예정입니다.

쿠즈하몬 : 무녀모드가 출시한 이후 던전들 입니다.
디지몬 카이저 (메청), 상점가, 카이저의 기지 (키메라몬), 다크웹 입니다.

2024년 05월 14일 출시 - > 2024년 05월 22일 쿠즈하몬 :무녀모드 대폭 상향.
일주일만에 발생한 일 입니다. 약 1년이 지난 2025년 04월 30일에 쿠즈하몬 : 무녀모드가 대폭 너프 당했습니다.
쿠즈하몬 : 무녀모드의 의존도를 낮추시겠다며 패치를 진행하셨습니다.
미지가 있는 스킬이 두개뿐이며 " 스킬 중 한 개는 대미지 상향 조정을 함과 동시에 또 다른 스킬은 광역공격 형태로 변경하여 사냥에서도 기대할만한 효율을 보일 수 있도록 조정될 예정입니다. " 라고 언급 하셨지만 정작 메인 스킬은 대미지 대폭 너프, 서브 스킬은 소폭 상향인 결과를 받아 기존에 비해 대미지가 대폭 너프를 당하였고
디버프 제거 스킬인 " 정화 " 스킬의 지속시간은 20초 쿨타임은 30초 였던 스킬을 지속시간은 20초 쿨타임은 40초 로 변경되었고
파티원들에게 좋은 버프를 주던 " 신의 의지 " 스킬은 지속시간 60초 쿨타임 70초 였던 스킬을 지속시간 30초 쿨타임 70초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개발노트에서 말씀해주신 내용은 쿠즈하몬 : 무녀모드를 출시하고 던전들이 쿠즈하몬 : 무녀모드를 인식하고 던전을 기획하였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쿠즈하몬 : 무녀모드 밸런스 패치 이후에 던전 기믹이 완화가 전혀 안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지몬 카이저 (메청) 던전 같은 경우 처음 시작하는 유저 경우 쿠즈하몬 : 무녀모드의 버프가 없으면 기믹을 수행하는것 조차 불가능 합니다.
장비를 얻기 위해 던전을 돌아야하는데. 장비가 없어 던전을 못도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카이저의 기지 (키메라몬) 특정 패턴이 지나가면 " 침묵 " 스킬을 사용합니다. 쿠즈하몬 : 무녀모드의 디버프 제거 스킬인 " 정화 " 스킬을 풀어 진행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정화 스킬 지속 시간이 지나면 바로 침묵이 걸리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위에도 말했듯 밸런스 패치전 무녀모드를 인식하여 기존 정화 쿨타임에 맞춰 기믹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또한 던전 보스인 키메라몬은 일정 피가 떨어졌을때 즉사급 미지가 들어오는 기믹이 발동합니다, 이때도 쿠즈하몬 : 무녀모드의 버프 스킬인 " 신의 의지 " 가 없으면 버티는게 불가능 합니다.
쿠즈하몬 : 무녀모드의 의존도를 낮추고 싶으셨으면 쿠즈하몬 : 무녀모드를 건들게 아닌 던전 기믹 완화부터 하신 다음에 건드셔야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을 만든건 개발사가 책임을 지어야 할 문제입니다. 쿠즈하몬 : 무녀모드는 게임 재화가 아닌 캐시 재화로 인해 얻을 수 있는 디지몬 입니다.

에오스몬 또한 비슷한 상황입니다.
2025년 4월 25일 개발노트 글의 일부입니다.
에오스몬
에오스몬은 유일한 언노운 U등급으로 출시가 된 후 전체적으로 높은 스탯 및 높은 스킬 대미지로 측정되어 출시 되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유틸 부분인 평타 캔슬에 대해서 제한을 받고 출시가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에오스몬에게는 대미지 같은 스탯 부분의 상향이 아닌 유틸 부분을 개선하여 전체 스킬의 평타 캔슬 제한을 해제 할 예정입니다.

유틸적인 부분이라 언급하셨지만 2025년 04월 22일 개발노트 를 보시면
두 번째로 속성 피해 관련 사항 입니다.
현재 디지몬 마스터즈에는 여러 디지몬이 있고 서로의 속성에 대하여 상성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확인 결과 몇몇 속성 시스템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현재 속성 시스템에 관하여 테스트 진행 중이며 테스트가 완료 되는 대로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 유저들이 문제가 있다 라고 언급하며 문의를 넣었지만 항상 돌아오는 대답은 " 문제 없다, 그게 정상이다 " 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리하여 조금이라도 강해지고 싶어했던 유저들이 속성피해가 적용되는 언노운 디지몬인 에오스몬을 찾게 되었습니다.

지금 현 에오스는 유틸이 문제가 아닌 속성 피해량 증가 패널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 상위 던전이 노데이터 디지몬인걸 생각하면 언노운 디지몬의 속성 피해량 증가 패널티가 왜 있는지 의문인 상황 입니다.

또한 자잘한 문제는 패밀리 속성에 따른 버프 아이템 차이와 진화의 정점 퍼센트 차이로 태생 차이가 발생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조그레스의 이점이 사리지고 족쇄가된 시점에 언제까지 서로 다른 퍼센트로 유저끼리 어떠한 디지몬은 안된다 라며 배척을 받아야 할까요?
우리 모두 디지몬이 좋아 디지몬 게임을 플레이 하고 있고 자기가 원하는 디지몬을 사용하고 싶습니다.